키움증권 영웅문S 사용법 - 예수금 보는법
- Money
- 2020. 8. 27.
오늘은 키움증권 영웅문S를 이용해 주식 계좌에 있는 예수금 확인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예전에도 글을 썼던 내용이지만, 예수금 항목 중 정산금액이 마이너스로 표기되는 이유를 다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오늘 알아볼 내용은 영웅문 예수금 확인 방법과 정산금액 마이너스로 보이는 이유 2가지입니다. 주식을 이제 시직한 주린이 여러분이라면 가볍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잔고 - 계좌
키움증권 영웅문S를 실행하고 화면 아래에 있는 "계좌 - 계좌 한 번 더 - 잔고"를 선택합니다.
위 그림처럼 계좌를 2번 터치하면 메뉴가 보이는데요. 여기서 "잔고"를 눌러 예수금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예수금 - 조회
아래 그림처럼 비밀번호를 넣고 조회 버튼을 누릅니다.
만약 계좌가 2개 이상이라면 비밀번호 왼쪽에 있는 탭을 선택해 조회하고 싶은 계좌를 하나씩 선택해주면 됩니다.
예수금 - 조회 완료
이제 키움증권 영웅문S 주식 계좌에 있는 예수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출가능금액은 오늘(당일) 입출금할 수 있는 돈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어, 근데, D+2 정산금액이 마이너스입니다.
왜 마이너스로 정산금액이 보일까요? 이 부분은 제가 예전에 올렸던 글에도 알려드렸지만, 산 것보다 판 게 더 많으면 마이너스로 보입니다.
결론을 간략히 말씀드리면 매수 매도 정산금은 단순히 매수 금액에서 매도 금액을 뺀 결과입니다.
매수매도정산금이 마이너스라면, "아~ 오늘은 산 것보다 판 게 더 많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걸로 끝~
예수금 확인할 때, 매수 시점에는 증거금만 필요하고 결제일에 전체결제자금이 빠져나가므로 결제일에 결제자금이 부족하면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오늘 매매로 인한 미수금 발생 여부는 예수금 화면의 D+2 추정예수금 항목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D+2 추정예수금 항목에 마이너스(-) 금액이 조회되면 미수금이 발생할 예정임을 의미하오니, 거래 시 고려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미수금이 발생할 예정이라면 결제일까지 D+2 추정예수금 항목에 마이너스(-) 금액만큼 입금하시면 모든 미수금이 변제됩니다.
신용으로 산 게 아니라면 마이너스로 보이는 게 별로 의미는 없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키움증권 영웅문S에서 거래내역을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는데요.
계좌 - 거래내역
키움증권 영웅문S 화면 아래 계좌를 누르고 거래내역으로 이동하세요.
그리고 매수 매도를 했던 날짜를 선택하고 거래내역을 조회합니다.
위 그림의 아래쪽 보이시나요?
매도합계는 390만원 정도인데 매수 합계는 75만원뿐입니다. 이러면 당연히 정산금액은 마이너스로 보이게 됩니다. 단순히 산 것보다 판 게 더 많으니깐요.
그 외에 예수금은 D+1, D+2에 맞춰 유동적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입출금은 2 거래일 이후에 확정되니깐 이에 맞춰 거래를 계속 진행하셔도 되고요. 마지막으로 키움증권 영웅문S에서 정산금액 예수금 마이너스는 신용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의미 없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