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뷰 아두이노 연동, 장단점과 코딩 방법 (LabView, Arduino) LabVIEW와 Arduino를 연동함으로써 Arduino를 더 파워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LabVIEW란? - 랩뷰란 데이터 수집, 계측과 제어 시스템을 구성할 때 높은 생산성을 산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그래피컬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LabVIEW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그들의 시스템을 컨트롤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꾸미고, 시스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만들게 된다. - 랩뷰가 사용되는 산업 분야통신, 자동차, 반도체, 항공 우주, 교통, 의학과 전자 등을 포함한 수많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 개발 중 : 제품의 틀을 빠르게 만들거나 실험하기 위해서, 또한 개발 초기의 디자인을 ..
C# 코드 최적화 7가지 (작업 속도와 효율성 향상) 코드 최적화란 모든 개발자에게 중요한 측면입니다. 이 포스트에서 소개할 여러 팁은 작업 속도와 효율성을 향상해 더 나은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상용 메모리 관리 툴들은 최적화가 진행 된 응용 프로그램 코드의 질을 더 좋게 평가할 것이며, 메모리 관리 측면에서도 더 나은 결과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작업 시간도 아낄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코드 최적화는 반드시 진행해야 할 사항입니다. 고민하지 말고 무조건 최적화를 하세요. 이 포스트가 그것을 돕습니다. ? 조건 연산자를 사용하세요 ?를 사용하는 것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고, 잘만 사용하면 오히려 더 편리합니다. 아마도 ? 연산자는 브라이언 케니건(Br..
internal compile error: Killed (program cc1plus) 에러 메시지internal compile error: Killed (program cc1plus) 제목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면 make 옵션을 살펴보자.내 경우엔 "make -j4"를 이용했더니 발생했었다. 이 에러는 시스템의 메모리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것인데, j 옵션을 수정해서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 이 포스트를 작성하고 있는 현재는 우분투 상태가 좀 이상해서 옵션 4를 주면 거의 매번 에러가 발생하나 종종 에러가 발생하지도 않는다. 이런 건 대체 무슨 이유인지 알 수가 없다. 나만 헷갈린다. 참조 링크 - make의 -j 옵션에 대해서 (소스 컴파일속도 최적화) 위의 링크를 참조해서 j 옵션 뒤에 붙을 숫자를..
ATmega128 / 128L 특징과 기능 차이점, 직접회로 Clock 구분 기준 둘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전기적 특징(Electrical Characteristics)에 기반을 둡니다. 일단, ATmega128의 데이터 시트를 참조해 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안전 동작 영역(Safe Operation Area)이 존재하는데, ATmega128에서 보장하는 클럭의 속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눈대중으로 보시면, 3.3v에선 12~13MHz로 나옵니다. 이 뜻은, 16MHz의 일반 128에선 정상적인 동작을 장담하지 못한다는 것이고, 즉, 칩 제조사의 데이터에 따라 동작 환경이 다르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클럭 이외에도 몇 볼트 이상을 가해야 High로 인식하는지 low로 인식하는지 등의 온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