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ES 암호화 프로그램 소스, C#-자바(java)-안드로이드 출처 - Android: JAVA和C# 3DES加密解密 [링크] 형태가 유사한 3DES (triple des) 소스 코드입니다.언어는 각각 C#, 자바, 안드로이드로 다르지만 형태는 거의 유사해 재밌네요. 3DES 암호화 프로그램 소스 다운로드 C# 3DES 암호화 프로그램 소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1031041..
Qt C++ 다중상속 예제 (Multiple inheritance) 프로그래밍 소스 해외 블로거의 글을 번역한 포스트입니다. 아쉽게도 원래 글을 적으신 분이 블로그를 폭파하셔서 링크는 남길 수가 없네요. Qt도 C++ 계열이라 여기서 소개하는 소스는 C++과 관련된 어느 소스에나 적용할 수 있습니다.다중상속 예제는 계산기 구현으로 이뤄졌으니 참고하세요. Qt C++ 다중상속 예제 시작합니다. CalculatorForm 정의CalculatorForm에는 ui_calculatorform.h 파일이 포함됩니다. 1#include "ui_calculatorform.h"cs 모든 클래스들은 QWidge와 Ui::CalculatorForm의 서브 클래스로 선언됩니다. 1234567891011class Calcula..
[C언어 강좌] 동적 메모리 할당, 배열 메모리 영역 (malloc sizeof 이해) 1. 동적 메모리 할당 시스템으로 부터 메모리를 할당받는다는 것은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메모리 영역을 배정받고 이에 대한 주소를 얻는 것이다. 동적 메모리는 "절대" 변수를 통해서 접근할 수 없다. 오로지 포인터 변수에 의해서만이 접근할 수 있다. 포인터 변수에 의해서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은 malloc()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사항에 들어가기 전에 C프로그램에서의 메모리 구조를 먼저 보도록하자. - 텍스트 영역, text segment - 초기화된 데이터 영역, initialized data segment - 비 초기화된 데이터 영역, Uninitialized data segment - 스택,..
C++ CLI 로그 파일 출력, 3가지 txt 만들기 방법 1. MSDN 템플릿 소스 [링크] 123456789101112String^ fileName = "textfile.txt"; StreamWriter^ sw = gcnew StreamWriter(fileName); sw->WriteLine("A text file is born!"); sw->Write("You can use WriteLine"); sw->WriteLine("...or just Write"); sw->WriteLine("and do {0} output too.", "formatted"); sw->WriteLine("You can also send non-text objects:"); sw->WriteLine(DateTime::Now)..
ArcGIS Server 서버 용어 3개 (오브젝트 관리자와 컨테이너) 서버 오브젝트 관리자 (Server Object Manager)ArcGIS Server는 SOM과 SOC로 구성되어 있는데, SOM은 단일 장비에서 실행되는 윈도우 서비스이며 SOC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여러 장비(컨테이너 장비)에서 실행된다. SOM은 하나 또는 여러 컨테이너 장비에 걸쳐 분산된 ArcGIS 서버 오브젝트 집합을 관리하게 된다. 임의의 응용프로그램에서 LAN 또는 WAN을 거쳐 GIS 서버로 직접 연결을 하게 되면 이는 곧 SOM에 연결하는 바가 되며, 이 연결을 이루기 위해 제공할 매개변수는 SOM 장비의 장비명 또는 인터넷주소(URL)가 된다. 서버 오브젝트 컨테이너 (Server Object Container..
MFC : 리스트 컨트롤 + 드래그 앤 드랍 (List Control 마우스 이벤트) 출처 - A Drag and Drop List Control [링크] MFC List Control(리스트 컨트롤)에 드래그 앤 드랍 기능 추가 전체 프로젝트 - Drag and Drop ListCtrl_demo.zip [링크]실행 프로젝트 - Drag and Drop ListCtrl_exe.zip [링크]프로젝트 소스 - Drag and Drop ListCtrl_src.zip [링크] 위의 MFC 리스트 컨트롤 예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합니다. 1.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드래그앤 드랍을 지원2. 마우스가 위에 이동하는 잠재적 인 드래그 대상은 (선택) 강조 표시됩니다.3. List Control에 파일을 추..
RISC 명령어 집합, 코드 크기, 병목 현상에 대해서 [컴퓨터구조] RISC 명령어 집합과 인코딩 압축 코드의 두 가지 기능 수행을 도움 첫 번째,- 같은 양의 컴파일 된 프로그램의 유지를 위해 작은 메모리 장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허용- 여기서, 메모리 장치란, 디스크, 메인 메모리, (명령어) 캐시를 의미- RISC 메모리 장치는 작고, 빠르며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음- 같은 크기의 메모리 장치는 컴파일된 코드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음 두 번째,- 기계 코드를 압축할 때, CPU가 원하는 속도(비용)로 명령어 fetch를 하기 위해 적당한 대역폭이 필요함- 이때 RISC에서 사용하는 버스들은 저렴- 같은 대역폭(Bandwidth)은 컴파일된 프로그램의 명령어 사이클(instruction cyc..
[아크GIS Arc Map] 서버 오브젝트 재순환, 아크맵 시스템 사이징 ArcGIS 개념과 용어정리 (아크GIS Server Concepts and Terminology) ESRI 기술 문서 (ESRI Technical Paper), 2004년 9월 ArcGIS 서버 오브젝트 재순환 (recycling) 재순환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서버 오브젝트를 소멸시키거나 새로운 서버 오브젝트로 교체하는 장치이다. 재순환함으로써 오래된 서버 오브젝트에게 점유된 Arc Map 자원도 재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서버 오브젝트 풀을 새로운 상태로 유지하면서 오래되었거나 사용하지 않는 아크GIS 서버 오브젝트를 순환시키게 된다. 풀링된 서버 오브젝트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응용프로그램 및 이에 대한 사용자..
[빅데이터 활용 사례] POC 프로젝트와 데이터 분석을 IT 부서가? 빅데이터 TF 리더의 역할을 IT 부서가 해서는 안 된다 Big Data를 주제로 하는 임원 회의에서는 IT 부서 담당인 CIO가 가장 많은 이야기를 한다. CIO가 다른 임원들보다 빅데이터를 많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빅데이터 활용 사례 = 그래서 데이터 분석까지 맡기려한다) 기본적으로 빅데이터 기술은 IT 기술이기 때문에 빅데이터 도입을 지시하는 기업의 대표는 CIO에게 TF팀을 맡기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Big Data가 IT 기술이기는 하나 빅데이터 프로젝트가 IT 부서 프로젝트는 아니라는 사실이다. 빅데이터 활용 사례에서 유념해야할 부분이다. 빅데이터 TF팀을 담당한 CIO는 빅데이터 도입에 대해서 IT팀 팀원..
[빅데이터 사례] 기업 경영진, 임원의 데이터 분석 방법 (BigData 영향력) 기업 임직원이나 경영진의 Big Data에 대한 인식도 매체에서 다루는 것과 유사하다. 실제로 빅데이터를 해보며 데이터 분석 방법을 아는 사람들과 옆에서 바라만 본 사람들이 느끼는 것은 다를 수밖에 없다. 빅데이터 사례를 모르는 기업의 경영진 역시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앞으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칠 수밖에 없다. 기업 경영진은 빅데이터 도입 시 본인들의 영향력을 간과한다 기업의 경영진은 자신의 역할이 Big Data 도입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잘 모르기 때문에 빅데이터에 대한 자신들의 영향력도 크지 않다고 생각하나 경영진은 기업에서 빅데이터를 도입하는 의사 결정 과정에 영향을 준다. (데이터..
귀무가설과 대립가설로 보는 통계 데이터 분석 (가설, 검정) 가설검정이란 조사하고자 하는 현상을 구체적인 가설(수학적 표현)로 만들고, 가설을 입증할 수 있도록 실험이나 관찰을 수행한 후(통계 데이터 분석 이후), 그 결과를 효과적인 값(요약할 수 있는)으로 구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렇게 구해진 값을 귀무가설이 사실이라고 가정한다. (대립가설은 더 아래에서 설명) 그리고 기대되는 값들과 비교하여, - 귀무가설 하에서 얻어지기 힘든 값이라면, 귀무가설을 기각- 충분히 얻어질 수 있는 값이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한다. 가설검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통계 데이터 분석 순서는 비슷하다) 1. 귀무가설, 대립가설 설정2. 실험이나 관찰을 계획, 수행3. 실험이나 관찰을 효과적으로 요약4. 요약된 값이 귀..
WinCE 저전력 모드 프로그래밍 주의 사항 (윈도우 CE 스케줄링) WinCE 금지 사항 아래 코드는 좋지 않은 습관이다. CPU 파워와 배터리 소모를 유발하여 저전력을 위배한다. 여기서 윈도우 CE 전원 관리를 잠깐 살펴보자. 윈도우 CE는 운용시간의 90% 이상 모든 스레드가 블록 된 상태다. 이때는 WinCE OEM 추상 레이어(OAL, OEM Abstraction Layer로서 MS-DOS에서의 BIOS와 같다)를 호출해 저전력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스레드 기반 환경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하면 절대 안 된다. 1234while (bFlag == FALSE) { // 플래그에 새 값을 읽음}// 수행 계속cs 일반적으로 저전력 상태는 명령어 실행을 중단하는 CPU 정지(halt)를 뜻한다...